사회 이야기

국민연금의 문제

gratuitous 2023. 3. 3. 14:58

1980년대부터 등장한 국민연금은 노후의 불안과 불투명한 미래를 위한 안전책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금의 주요 변수는 자산수익률과 수명일 거라고 예측된다.
종신보험이 조기 사망위험을 보장할 수 있다면 연금은 장수위험을 보장해줄 것이다.
결국엔 오래 사는 사람에게 몰아주기를 하는 게임으로 볼 것이다.
연금의 고갈 시기는 기대수익률과 생존율일 거라고 볼 것이다.
기준금리를 1% 내릴 거라고 볼 때 이는 연기금의 자살이라고 볼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연금 수익이 불투명한 이유는 코스피에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나스닥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나 지금과 같은 기준금리는 연기금의 채권 수익률을 높일 거라고 예견된다.
주식 비중을 줄이고 채권 비중을 늘릴 거라고 본다면 연기금의 포트폴리오에 변화가 올 것이다.
현재와 같은 고금리가 이런 결과를 유도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결국 국민연금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은 기대수명이 늘어난 것과 실질금리의 마이너스가 일반화되었기 때문일 거라고 예측된다.